경제의 한 분야 중 주식을 시작하려는 분들이 계신가요? 주식을 먼저 하기 전에 주식 공부를 시작하고 주식을 하는 게 좋은데요. 그중 가장 기초인 주식용어를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주식용어인 PER, PBR, EPS에 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각 용어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바로 확인해 보세요!
[ 목 차 ]
(1) 경제용어 정리 – PER
주식 시장에서 기업의 상대적인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PER은 주가 대비 수익 비율을 나타냅니다.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PER은 기업의 얼마나 고평가돼 있는지 저평가돼 있는지 판단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 A의 주가는 70,000원이고, 1주당 수익이 7,000원일 때, PER 계산은 70,000원을 7,000원으로 나눈 10이 됩니다. 즉 회사 A의 PER은 10배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회사 A의 주식은 1주당 벌어 들이는 순이익에 비해 10배가 현재 주가에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만약 PER가 낮다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으로 저평가되어 있고 PER이 높을 경우 이익 대비 주가가 높다는 것으로 고평가 되어 있다고 말하 수 있어요. 그렇다고 해서 PER이 저평가 된 주식이 항상 좋은은 아니에요. 회사 자본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해도 PBR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PER은 하나의 지표일 뿐 절대값이 아니기 때문에 PER을 평가할 때는 주당 순이익을 고려하고 기업에 따라 투자하고자 하는 업종의 PER을 체크해야 하며 PER이 포함된 기업들을 꼼꼼히 비교해 상대평가를 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업종 평균을 봤을 때 헬스케어나 제약 회사는 높고 은행, 건설 같은 경우는 낮습니다. 이것을 보면 순이익은 높지만 성장성을 낮게 본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업종별 PER을 통해서 투자자들이 유망업종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2) 경제용어 정리 – EPS
EPS는 기업의 순이익을 주식 총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순이익을 말합니다. 즉 회사가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 지를 말하는 것으로 계산을 하면 순이익에서 총 발행 주식 수를 나누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 B가 총 발행 주식 수가 100주이고 순이익이 1000만원이라고 한다면 B 회사는 1주당 순이익 10만원을 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즉,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주식 투자자들이 기업의 이익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주주들에 대해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 EPS는 높을수록 좋고 투자자들 역시 주식을 볼 때 더 가치 있게 여기게 됩니다.
기업의 성장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는 EPS가 분기별로 꾸준히 증가한다면 그 기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PS가 불규칙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는 그 기업의 안정성에 대해 과연 괜찮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EPS를 통해 기업의 잠재적인 위험과 수익을 판단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3) 경제용어 정리 – PBR
주식의 가치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PBR은 주가 순자산 비율을 의미하는데 주가를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주식의 저평가나 고평가 여부를 가늠할 수 있어요.
주가 순자산 비율이 1보다 낮을 경우, 주식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이는 주식을 저렴하게 사들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고 반대로, PBR이 1보다 높을 경우에는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 이때는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PBR이 1이 넘는 기업은 돈도 잘벌고 미래가 충분히 있는 기업으로 괜찮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4정도 넘어가야지 고평가 기업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PBR은 기업 간 비교를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에도 활용되는데 비슷한 업종에 속한 기업들의 PBR을 비교해 보면 어떤 기업이 더 저평가 되었는지 더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요. PBR이 너무 낮거나 높다면, 이는 기업의 재무 구조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에 PBR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아본 PER, EPS, PBR은 주가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단순히 하나씩만 보고 기업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대신 다양한 부가적인 요소, 업종이나 시장 상황들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보통 가치를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PER 10 이하 PBR 1 이하인 낮은 기업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주식을 저렴하게 살 수 있기 때문이고 주식을 저렴하게 샀다는 것은 결국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그 반대로 성장 투자자들은 미래와 전망이 밝은 주식들, 제약 회사나 헬스케어 회사, 대기업 주식들을 말하는데요. 투자는 각자의 주관된 생각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니 잘 분석해보고 투자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우리 모두 성장하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도록 앞으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합시다.